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Python

[BAEKJOON] 백준 Python 5단계 함수 15596번 / 4673번/ 1065번 / 정수 N개의 합 / 셀프 넘버 / 한수

by EunjiBest 2022. 4. 27.

[BAEKJOON] 백준 Python 5단계 함수 15596번 / 4673번/ 1065번 / 정수 N개의 합 / 셀프 넘버 / 한수

 

 

 

15596번(정수 N개의 합)

 

정수 n개가 주어졌을 때, n개의 합을 구하는 함수를 작성하시오.

def solve(a: list) -> int

○ a: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 n개가 저장되어 있는 리스트 (0 ≤ a[i] ≤ 1,000,000, 1 ≤ n ≤ 3,000,000)
○ 리턴값: a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 n개의 합 (정수)

 

드디어 함수 문제이다.

기본 코드가 위 처럼 주어진다.

 

def solve(a):
    ans = 0
    return ans

 

함수 이름은 sovle이고

리턴값은 ans이다.

 

 

1. 함수 이름은 sovle.

2. 인풋으로 정수 n개가 저장되어있는 리스트a를 받는다.

3. a의 길이만큼 for문을 돌린다.

4. a의 길이만큼 정수 n개의 합을 구해 ans에 저장한다.

5. ans를 리턴한다.

 

def solve(a):
    a = list(map(int, input().split()))
    ans = 0
    for i in range(len(a)):
        ans += i+1
    return ans

 

위 순서대로 코드를 짰는데..

런타임에러가 떴다.

백준에서 런타임 에러가 뜨면 제일 해결하기 어렵다.

무엇이 틀린 것일까...

 

구글링을 해본 결과!

 

인풋을 함수 안에 넣어둔 것이 잘못되었다.

그리고

a리스트 개수만큼의 합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a리스트 요소의 합을 구하는 문제인듯 싶다.

 

그럼 간단하게

모두 제거하고, 

 

def solve(a):
    
    ans = 0
    for i in a:
        ans += i
    return ans

 

이렇게만 해주면 완성!

 

또 한가지 방법이 있다.

sum을 이용하는 법

 

def solve(a):
    return sum(a)

 

매우 간단한 문제이다.

 

 

 

 

4673번(셀프 넘버)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3, 39, 51, 57, 69, 84, 96, 111, 114, 120, 123, 129, 141, ...

n을 d(n)의 생성자라고 한다. 위의 수열에서 33은 39의 생성자이고, 39는 51의 생성자, 51은 57의 생성자이다. 생성자가 한 개보다 많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101은 생성자가 2개(91과 100) 있다. 

생성자가 없는 숫자를 셀프 넘버라고 한다. 100보다 작은 셀프 넘버는 총 13개가 있다. 1, 3, 5, 7, 9, 20, 31, 42, 53, 64, 75, 86, 97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셀프 넘버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어우.. 읽기 싫다.

 

이게 왜 함수 문제인지 모르겠지만 함수 단계의 문제이니

셀프넘버를 구하는 함수를 만들어야한다.

 

셀프 넘버의 공통점을 찾아보려고 했는데..

 

셀프넘버가 아닌 것을 구하고, 

빼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인 듯 싶다.

 

d(1) = 1 + 1 = 2

d(2) = 2 + 2 = 4

d(3) = 3 + 3 = 6

.

.

.

d(9970) = 9970+ 9 + 9 + 7 + 0 = 9995

d(9972) = 9972+ 9 + 9 + 7 + 2 = 9,999

d(9973) = 9973+ 9 + 9 + 7 + 3 = 10001

d(9990) = 9990+ 9 + 9 + 9 + 0 = 10,017

 

 

생성자는 9972에서 멈추는 듯 싶다.

그럼 생성자 n을 1부터 9972까지 두고 for문을 돌리면 무언가 될 것같다.

 

이것저것 해본 결과

내가 숫자를 나누는 방법은

조오금? 조잡하긴 하지만ㅎ

 

8512을 예로 들자면

n = 8512//10  #851
n_1 = 8512 // 100 #85
q = n //100 #1000의자리수- 8
x = n_1%10 #100의 자리수
y = n%10 #10의자리수
z = 8512 % 10 #1의자리수

print(q) #1000의 자리수- 8
print(x) #100의 자리수- 5
print(y) #10의자리수- 1
print(z) #1의자리수- 2

 

이렇게 나누었다.

리스트로 슬라이싱을 할까 싶었는데, 괜히 더 복잡한 느낌이 들었다.

 

 

1. 생성자 수 1부터 10000이 돌아가는 for문을 만든다.

2. i가 돌아가면서 각 자리숫자를 나눠준다.

3. i + q + x + y+ z 를 한다. (여기까지가 셀프넘버가 아닌 수를 구한 것.)

4. 3번을 리스트 not_self_num 로 만들어준다.

5. not_self_num이 for 문을 돌면서 같지 않은 숫자를 출력하게한다.

 

num = list(range(1,10000))
not_self_num = []


for i in num:
  n = i//10  
  n_1 = i // 100 
  q = n //100 #1000의자리수 
  x = n_1%10 #100의 자리수
  y = n%10 #10의자리수
  z = i % 10 #1의자리수

  not_self_num.append(i + q+ x + y + z)


for a in num:
  if a not in not_self_num:
    print(a)

 

함수로 만들지 않았는데 정답처리가 되었다.

왜 함수 문제에 있었던 것인가..?

 

 

조금 시간이 오래걸리긴 했지만

오류 없이 정답처리가 한번에 되어서 기분이 좋다ㅎ

 

 

 

1065번(한수)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어후.. 국어 능력이 딸리는지

문제 이해가 오래걸린다.ㅋㅋㅋ

 

일의자리와 십의자리라면 모두 한수인 것같다.

즉, N이 99보다 같거나 크다면 99개는 가지고 들어간다.

 

1. N을 인풋한다.

2. 1부터 N번까지 돌아가는 for문을 만든다.

3. i가 100보다 작다면 1씩 카운팅 해준다.

4. 그렇지 않으면, i를 쪼개서 리스트로 만들어준다.

5. (0번째 수와 1번째수), (1번째 수와 2번째수)가 같다면

6. 1씩 카운팅해준다.

7. 카운팅 한것을 프린트한다.

 

N = int(input())
count = 0

for i in range(1, N+1):
  if i < 100:
    count +=1
  else:
     num = list(map(int,str(i)))
     if num[0] - num[1] == num[1] - num[2]:
       count +=1

print(count)

 

 

 

 

 

 

 

 


 

 

백준 파이썬 문제풀기 포스팅은

5단계 함수까지하고

당분간 중단하는 것으로 하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