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한 수학 문제 중 하나는 주어진 점이 어느 사분면에 속하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사분면은 아래 그림처럼 1부터 4까지 번호를 갖는다. "Quadrant n"은 "제n사분면"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좌표가 (12, 5)인 점 A는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양수이므로 제1사분면에 속한다. 점 B는 x좌표가 음수이고 y좌표가 양수이므로 제2사분면에 속한다. 점의 좌표를 입력받아 그 점이 어느 사분면에 속하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x좌표와 y좌표는 모두 양수나 음수라고 가정한다.
입력 : 첫 줄에는 정수 x가 주어진다. (−1000 ≤ x ≤ 1000; x ≠ 0) 다음 줄에는 정수 y가 주어진다. (−1000 ≤ y ≤ 1000; y ≠ 0) 출력 : 점 (x, y)의 사분면 번호(1, 2, 3, 4 중 하나)를 출력한다.
1. 정수 x,y를 넣는다.
2. x가 0보다 크고 y가 0보다 크면 -> 1출력
3. x가 0보다 작고 y가 0보다 크면 -> 2출력
4. x가 0보다 작고 y가 0보다 작으면 -> 3출력
5. x가 0보다 크고 y가 0보다 작으면 -> 4출력
이라는 간단한 식을 세워보았다.
조건문이니 간단한 if문을 사용해보겠다.!
x,y = map(int, input().split())
if x>=0 and y>=0:
print(1)
elif x<=0 and y>=0:
print(2)
elif x<=0 and y<=0:
print(3)
else:
print(4)
기존에 했던대로,
x,y를 split을 이용하여 받았는데, 런타임오류가 났다.
코드를 올리기 전 코랩에서 테스트를 하고 올리기 때문에 문제가 없는 줄 알았다..
정확히 런타임 오류가 난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구글링을 해보니,, input을 받는 형태에 문제가 있는 것같아서
답 :
x = int(input())
y = int(input())
if x>=0 and y>=0:
print(1)
elif x<=0 and y>=0:
print(2)
elif x<=0 and y<=0:
print(3)
else:
print(4)
x와 y를 따로따로 받았더니 정답처리가 되었다.
다른 분들 블로그 보니깐, 내가 처음에 썼던 식으로 해도 다 넘어가신 듯 한데
왜 나는 안되었을까..?
어찌되었든, 정답처리가 되었으니 런타임 input에 대한 오류는 다음에 알아보기로 하자.
2884번(알람 시계)
상근이는 매일 아침 알람을 듣고 일어난다. 알람을 듣고 바로 일어나면 다행이겠지만, 항상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 때문에 매일 학교를 지각하고 있다. 상근이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보았지만,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은 그 어떤 것도 없앨 수가 없었다. 이런 상근이를 불쌍하게 보던, 창영이는 자신이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해 주었다. 바로 "45분 일찍 알람 설정하기"이다. 이 방법은 단순하다. 원래 설정되어 있는 알람을 45분 앞서는 시간으로 바꾸는 것이다. 어차피 알람 소리를 들으면, 알람을 끄고 조금 더 잘 것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매일 아침 더 잤다는 기분을 느낄 수 있고, 학교도 지각하지 않게 된다.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알람 시각이 주어졌을 때,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한다면, 이를 언제로 고쳐야 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첫째 줄에 두 정수 H와 M이 주어진다. (0 ≤ H ≤ 23, 0 ≤ M ≤ 59) 그리고 이것은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놓은 알람 시간 H시 M분을 의미한다. 입력 시간은 24시간 표현을 사용한다. 24시간 표현에서 하루의 시작은 0:0(자정)이고, 끝은 23:59(다음날 자정 1분 전)이다. 시간을 나타낼 때, 불필요한 0은 사용하지 않는다.
출력 : 첫째 줄에 상근이가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할 때, 설정해야 하는 알람 시간을 출력한다. (입력과 같은 형태로 출력하면 된다.)
어릴 때부터 긴 수학 문제를 보면 읽고싶지 않았다..
하지만 난 어린이가 아니니... 꼼꼼히 읽어보았다ㅎ
(상근이가 나같은 아이인가보다. 나도 8시반에 알람을 맞춰두고 9시 반에 일어났다)
시간계산 은근 복잡해서 별로 안좋아하는데,...ㅎ
1. 인풋 H M
2. M - 45를 x라고 한다.
3. x가 양수일 때, H는 가만히 있고, M은 x
4.x가 음수일 때, H - 1이 되고, M은 60+x
라고 간단히 정리를 해보았다.(저게맞나)
일단 위 정리대로 코드를 짜보겠다.
H,M = map(int, input().split())
x = M -45
if x >= 0:
print(H, M-x)
else:
print(H-1, 60+x)
어.. 틀렸다.
문제를 찾아보니..!
H가 0일 때, -1을 하면?
11시가 아니라 -1시가 나온다는 것을 확인했다.
H-1이 0보다 작으면 23이 된다고 해주고싶다. (H-1이 24이나 22등 다른 경우의 수는 없으니)
H,M = map(int, input().split())
x = M -45
if x >= 0:
print(H, M-x)
if x <= 0:
if H-1 <= 0:
print(23, 60+x)
else:
print(H-1, 60+x)
???? 코드가 살짝 조잡해진 느낌이 있는데..아니나 다를까
코랩으로 돌렸을 때에는 원하는 출력값이 나왔지만
백준 시스템에서는 오답으로 나왔다.ㅎㅎ
다른 방식으로 생각해보자.
1. 값을 받는다
2. M이 44보다 크면, H와 M-45출력
3. M이 44보다 작고 H가 1보다 크면, H-1과M+15출력
4. 그렇지 않으면, 23과 M+15출력
다시 위 순서대로 코드를 짜보았다.
H,M = map(int, input().split())
if M > 44:
print(H, M-45)
elif M <= 44 and H >= 1:
print(H-1, M+15)
else:
print(23, M+15)
댓글